본문 바로가기

블로그/불교

불교철학 02 '아무도 잊히지 않는다 당신을 위로하지 못하는 신에 관한 이야기는 모두 거짓말이다.-마이스터 에크하르트'

by Life & study 2024. 6. 26.
반응형

불교철학  02 '아무도 잊히지 않는다 
당신을 위로하지 못하는 신에 관한 이야기는 모두 거짓말이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1. 아무도 잊히지 않는다
당신을 위로하지 못하는 신에 관한 이야기는 모두 거짓말이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위로
"아무도 잊히지 않는다": 이는 단순히 기억의 차원을 넘어 모든 존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우리의 행동, 말, 생각은 다른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은 결코 사라지지 않습니다.
"당신을 위로하지 못하는 신에 관한 이야기는 모두 거짓말이다": 인간은 누구나 고통과 슬픔을 경험하며 위로가 필요합니다. 만약 신이 존재한다면, 그는 인간의 고통에 무관심하지 않고 위로를 베풀어야 합니다. 이는 종교적인 믿음을 넘어, 우리 삶에서 진정한 위로와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시지입니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이는 독일의 신비주의 신학자이자 철학자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말임을 밝히는 부분입니다.

 

 

2. 용서는 필요하다
또 용서는 가능하다

용서의 가능성:
"용서는 필요하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타인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고, 반대로 상처를 받기도 합니다. 용서는 이러한 상처로부터 자유로워지고, 건강한 관계를 이어나가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또 용서는 가능하다": 용서는 불가능해 보일 만큼 깊은 상처에도 불구하고, 우리 모두가 노력하면 실현 가능한 일임을 강조합니다.

 

 

3. 뇌와 신경계는 평생에 걸쳐 성장하고 변한다.

 

변화의 가능성:
"뇌와 신경계는 평생에 걸쳐 성장하고 변한다": 이는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인간의 변화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문장입니다. 과거의 상처나 트라우마에 갇혀 있더라도, 우리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4. 자신을 위해 5분
타인을 위해 5분
6개월 동안 용서의 마음을 수행하라

 

용서의 실천:
"자신을 위해 5분": 이는 용서의 시작은 자기 자신에게 향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자신을 향한 비난이나 자책을 내려놓고 따뜻한 연민의 마음으로 자신을 돌보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타인을 위해 5분": 자신을 돌본 후에는 용서의 마음을 타인에게로 확장해야 합니다. 우리에게 상처를 준 사람들을 떠올리며 그들의 고통과 아픔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6개월 동안 용서의 마음을 수행하라": 이는 용서가 단순히 한 번의 감정적인 결단이 아니라 꾸준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수행임을 강조합니다.

 

 

5. 당신을 학대하고 때리고
당신의 물건을 훔치는 사람이 있더라도
그에게 화를 내는 생각을 버려라
삶은 미워하는 마음으로 살기에는 너무 짧으니까

 

분노를 넘어서:
"당신을 학대하고 때리고 당신의 물건을 훔치는 사람이 있더라도": 이는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용서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보여줍니다.
"그에게 화를 내는 생각을 버려라": 하지만 불교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분노나 원한을 품는 대신, 자비심을 유지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삶은 미워하는 마음으로 살기에는 너무 짧으니까": 분노와 미움은 우리의 마음을 괴롭히고, 행복을 가로막는 독과 같습니다. 짧은 인생에서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에 휩쓸리기보다는, 용서와 사랑의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 더욱 가치 있습니다.

 

 

6. 분노와 혼란을 느낄 때
자신의 슬픔과 후회를 느껴봅니다
그리고
당신의 용서를 구합니다 당신의 용서를 구합니다
라고  말해본다

 

분노 다스리기:
"분노와 혼란을 느낄 때": 이는 우리 모두가 일상에서 흔히 경험하는 분노와 혼란의 감정을 다루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자신의 슬픔과 후회를 느껴봅니다": 분노는 종종 슬픔, 후회, 두려움과 같은 다른 감정을 가리고 있습니다. 분노 뒤에 숨겨진 진짜 감정을 마주하고, 스스로에게 연민의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당신의 용서를 구합니다 당신의 용서를 구합니다라고 말해본다": 이는 분노를 가라앉히고, 스스로를 용서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반복적으로 용서를 구하는 행위는 자기 연민을 키우고, 부정적인 감정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