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블로그/불교9

불교철학 09 '증오의 마음이 치르는 대가는 너무 크다는사실을 깨닫는다.' 불교철학 09 '증오의 마음이 치르는 대가는 너무 크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1. 사랑은 참된 본성이다. 사랑은 두려움이라는 보호막에 가려져 있다.모든 존재는 본래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결의 본질은 사랑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상처받을까 두려워 마음의 벽을 쌓고, 자신을 세상으로부터 고립시킵니다. 이러한 두려움이 우리의 본성인 사랑을 가리고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2. 평화로운 가슴은 사랑을 낳는다 사랑이 고통을 만나면 연민심으로 변하고 사랑이 행복을 만나면 기쁨으로 변한다.내면의 평화에서 우러나오는 사랑은 조건 없이 모든 존재를 향합니다.이 사랑은 고통받는 존재와 만나면 **연민(자비, 慈悲)**으로, 행복한 존재와 만나면 함께 기뻐하는 **muditā(공희, 共喜)**로 자연스럽게 표.. 2024. 6. 28.
불교철학 08 '어려움에 직면해 행복할 수 없다면 우리가 하는 영적 수련이 다 무슨 소용인가?- 마하 고사난다' 불교철학 08 '어려움에 직면해 행복할 수 없다면 우리가 하는 영적 수련이 다 무슨 소용인가? - 마하 고사난다'   1. 신뢰하는 마음으로 산다는 것은 불완전함에 관하여 걱정하지 않는 것이다.이 문장은 불교에서 말하는 **믿음(신심, 信心)**의 진정한 의미를 보여줍니다.맹목적인 믿음이 아닌, 자신과 세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불완전함 속에서도 평온을 유지하는 마음가짐을 강조합니다. 불교는 완벽한 존재가 아닌,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는 존재로서의 '나'를 인정하고, 그러한 불완전함 속에서도 끊임없이 수행하고 정진할 때 진정한 행복에 다가갈 수 있다고 말합니다.   2. 끊임없이 변하는 이 우주에서 우리가 확실히 아는 것은 실제로 매우 제한되어 있다.이 문장은 세상의 **무상(無常)**함을 다시 .. 2024. 6. 28.
불교철학 07 '고요할 것이다 이것이 붓다의 행복이다' 불교철학 07 '고요할 것이다 이것이 붓다의 행복이다'   1. 중도는 침착과 혐오 존재와 비존재 색과 공 자유의지와 결정론 사이에 가운데 길을 말한다.  이 문장은 다양한 관점에서 불교의 핵심 개념인 **중도(中道)**를 설명합니다. 침착과 혐오: 외부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혐오하는 양 극단을 피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존재와 비존재: 모든 것은 영원불변하게 존재한다는 '영원주의'와 모든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허무주의' 모두를 극복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상(現象)으로서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색과 공: '색(色)'은 물질적인 형태를, '공(空)'은 실체 없이 변화하는 본질을 의미합니다. 색과 공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하나의 현상.. 2024. 6. 28.
불교철학 06 '피할 장소를 찾았으나 찾을 수없었다세상에는 변하지 않는 것도 없다 - 숫따니빠타' 불교철학 06 '피할 장소를 찾았으나 찾을 수없었다 세상에는 변하지 않는 것도 없다  - 숫따니빠타'   1. 진리에 들어가는 수많은 입구들  내가 그 모든 것을 공부하기를 맹세합니다 -붓다이 문장은 깨달음,즉 진리에 이르는 길이 하나가 아니라는 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을 보여줍니다. 마치 산 정상에 이르는 길이 여러 갈래인 것처럼, 사람들은 각자의 성향과 근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진리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 붓다는 모든 존재가 깨달음의 씨앗을 지니고 있음을 인지하고, 그 다양한 길을 모두 탐구하고 이해하여 모든 중생의 깨달음을 돕겠다는 자비로운 맹세를 표명합니다.   2.  피할 장소를 찾았으나 찾을 수없었다 세상에는 변하지 않는 것도 없다  - 숫따니빠타이 구절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의 속성인 *.. 2024. 6. 28.
불교철학 05 '고통을 가져오는 직업과 무기를 거래하는 일을 피해야 한다- 붓다' 불교철학 05 '고통을 가져오는 직업과 무기를 거래하는 일을 피해야 한다 - 붓다'   1.삶의 목적은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신의 뜻을 실행에 옮기는 것입니다불교는 특정 신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으며, 신의 뜻을 따르는 것을 삶의 목적으로 삼지 않습니다. 오히려 깨달음을 통해 스스로 진리를 탐구하고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문장은 불교 철학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입니다.   2. 마음에서 모든 어린들이 가 적절한 보살핌과 음식을 갖는 세상을 용기 있게 마음속에 그려야 한다.이 문장 자체는 보편적인 선의 실현을 강조하는 좋은 내용입니다. 불교에서도 자비와 연민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생각은 불교적 가르침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장만으로는 불교 철학을 .. 2024. 6. 27.
불교철학 04 '붓다는 이렇게 선언한다'우리는 분리되어있지 않다우리는 상호의존하고 있는 존재이다'' 불교철학 04 '붓다는 이렇게 선언한다 '우리는 분리되어있지 않다 우리는 상호의존하고 있는 존재이다''   1. 모든 지혜로 인간에게 행복과 의미는 결코 혼자서 구할 수 없으며 관대함과 사랑 이해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이 문장은 '상호의존성'에 대한 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을 강조합니다. 인간은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서로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진정한 행복과 삶의 의미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관대함, 사랑, 이해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2. 보살의 눈으로 세상을 볼 때  '나와 타인'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 속에는 '우리' 만이 존재한다. 보살의 눈으로 세상을 볼 때 '나와 타인'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 속에는 '우리' 만이 존재한다."해석: '보살'은 모든 존재의 고통을 덜어주고.. 2024. 6. 26.
불교철학 03 '영성은 정치와 무관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영성의 진짜 의미를 모르는 사람이다.-마하트마 간디' 불교철학  03 '영성은 정치와 무관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영성의 진짜 의미를 모르는 사람이다. -마하트마 간디'   1. 나에게 해를 입힌 사람들에게 용서를 전합니다 당신을 용서합니다 라고 말해보자.신과 위로, 용서의 필요성 "아무도 잊히지 않는다 당신을 위로하지 못하는 신에 관한 이야기는 모두 거짓말이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이 문장은 신의 존재 유무보다는 '위로'라는 인간적인 감정에 집중합니다. 진정한 신은 인간에게 위로를 줄 수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다면 거짓이라는 다소 도발적인 주장을 통해 인간 내면의 힘과 용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용서는 필요하다 또 용서는 가능하다" 용서가 단순히 윤리적인 당위성을 넘어, 개인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임을 분명히 합니다. 또한 용서가 불.. 2024. 6. 26.
불교철학 02 '아무도 잊히지 않는다 당신을 위로하지 못하는 신에 관한 이야기는 모두 거짓말이다.-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불교철학  02 '아무도 잊히지 않는다 당신을 위로하지 못하는 신에 관한 이야기는 모두 거짓말이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1. 아무도 잊히지 않는다 당신을 위로하지 못하는 신에 관한 이야기는 모두 거짓말이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위로 "아무도 잊히지 않는다": 이는 단순히 기억의 차원을 넘어 모든 존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우리의 행동, 말, 생각은 다른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은 결코 사라지지 않습니다. "당신을 위로하지 못하는 신에 관한 이야기는 모두 거짓말이다": 인간은 누구나 고통과 슬픔을 경험하며 위로가 필요합니다. 만약 신이 존재한다면, 그는 인간의 고통에 무관심하지 않고 위로를 베풀어야 합니다. 이는 종교적인 믿음을 넘어, 우리 삶에서 진정한 위로와 연대의 중요성.. 2024.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