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불교'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블로그/불교14

금강경 제3 분 "약보살유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즉비보살" 1.  금강경 제3 분 "약보살유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즉비보살" 금강경 제3분의 핵심 내용: 금강경 제3분(대승정종분, 大乘正宗分)은 대승불교의 핵심 교리를 드러내는 장입니다. 수보리(須菩提)가 부처님께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발하고자 한다면 마땅히 어떻게 머물러야 하며, 어떻게 마음을 항복시켜야 합니까?”라고 질문합니다. 부처님은 "모든 중생을 제도하여 열반에 들게 하더라도 실제로는 한 중생도 제도하지 않았다"라고 답하며, '무아(無我)', '무인(無人)', '무중생(無衆生)', '무수명(無壽命)'의 사상을 강조합니다. 진정한 보살은 이러한 상(相)에 집착하지 않고, 공(空)의 지혜로써 중생을 제도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자주 인용되는 금강경 제3분의 주요 구절 & 해석 (.. 2024. 11. 20.
“모든 것은 마음에서 비롯된다. 마음이 중요하다.” -석가모니 1.  “모든 것은 마음에서 비롯된다. 마음이 중요하다.” -석가모니  1. 명언의 유래 "모든 것은 마음에서 비롯된다. 마음이 중요하다."라는 명언은 석가모니(부처님)의 가르침 중 하나입니다. 이 명언은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후, 제자들에게 마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한 말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석가모니는 마음이 모든 행동과 결과의 근원임을 깨닫고, 이를 통해 인간의 고통과 괴로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가르쳤습니다. 2. 역사적 의미 이 명언은 불교의 핵심 교리 중 하나로, 마음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마음이 모든 것의 근원이라는 가르침은 불교의 기본 원리로 자리 잡았으며,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고 마음을 다스리는 법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이 명언은 불교뿐만 아니라 다.. 2024. 9. 17.
행복은 많이 갖는 것이 아닙니다. 행복은 많이 베푸는 것입니다. - 부처님 1. 행복은 많이 갖는 것이 아닙니다. 행복은 많이 베푸는 것입니다. - 부처님   1. 명언의 유래 이 명언은 부처님의 가르침 중 하나로, 부처님은 행복이 물질적인 소유나 외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마음가짐과 행동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르쳤습니다. 부처님은 제자들에게 자비와 나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행복은 많이 베푸는 데서 온다고 말씀하셨습니다2. 역사적 의미 이 명언은 불교의 핵심 가르침 중 하나로, 자비와 나눔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역사적으로 이 가르침은 불교 신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 가르침을 통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게 되었습니다3. 지금 날까지 전해지게 된 과정 이 명언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기록된 경전과 불교 문헌을 통해.. 2024. 9. 15.
너 자신을 알라 - 소크라테스 1. 너 자신을 알라 -소크라테스 1. 명언의 유래 "너 자신을 알라"라는 명언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자주 사용한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명언은 델포이 신전의 입구에 새겨져 있던 경구로, 인간이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겸손하게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 역사적 의미 이 명언은 인간의 자기 인식과 자아 성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이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고 끊임없이 자신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철학적 사고와 인간의 도덕적 성장을 촉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3. 지금 날까지 전해지게 된 과정 이 명언은 소크라테스의 제자 플라톤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이후 여러 철학자와 사상가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인용되었습니다. 현대에도 자기 계발과 심.. 2024. 9. 15.
법회인유분의 유래- 금강경 1. 법회인유분 - 금강경  법회인유분 - 금강경 1. 명언의 유래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은 금강경의 첫 번째 장으로,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서 비구 1,250명과 함께 계셨을 때의 상황을 설명합니다. 이 장은 부처님께서 가사를 입고 발우를 지니고 사위성으로 들어가 탁발을 마치고 돌아와 앉으신 후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2. 역사적 의미 법회인유분은 불교 경전의 서분(序分)으로, 경전이 생기게 된 연유와 배경을 설명합니다. 이 부분은 경전의 신뢰성을 높이고, 부처님의 가르침이 정확히 전달되었음을 증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불교 경전의 체계와 구조가 확립되었으며, 후대의 학자들에게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3. 지금 날까지 전해지게 된 과정 법회인유분은 경전의 서분으로서, 부처님의 가르침.. 2024. 8. 31.
형성된 것들은 소멸하기 마련인 법, 방일하지 말고 성취하라! -대반열반경 1. 명언의 유래와 역사적 배경:  이 명언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죽기 전에 제자들에게 남긴 마지막 가르침입니다 . 부처님은 80세가 되던 해에 쿠시나가라에서 병을 얻고, 그곳에서 제자들과 함께 있었습니다. 그는 제자들에게 자신의 가르침을 잘 따르고, 스스로 깨달음을 얻으라고 당부했습니다이 명언은 불교 경전 『대반열반경』에 등장하는 말로,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열반에 들기 전에 제자들에게 남긴 마지막 가르침 중 하나입니다. 부처님은 이 말을 통해 모든 것은 변화하고 소멸하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라는 점을 강조하셨습니다. 2. 당시 사회에 미친 영향:  이 명언은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불교의 근본적인 교리와 실천을 요약하고 있습니다 부처님은 제자들에게 자신의 말이나 경전이나 다른.. 2024. 7. 10.
불교철학 09 '증오의 마음이 치르는 대가는 너무 크다는사실을 깨닫는다.' 불교철학 09 '증오의 마음이 치르는 대가는 너무 크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1. 사랑은 참된 본성이다. 사랑은 두려움이라는 보호막에 가려져 있다.모든 존재는 본래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결의 본질은 사랑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상처받을까 두려워 마음의 벽을 쌓고, 자신을 세상으로부터 고립시킵니다. 이러한 두려움이 우리의 본성인 사랑을 가리고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2. 평화로운 가슴은 사랑을 낳는다 사랑이 고통을 만나면 연민심으로 변하고 사랑이 행복을 만나면 기쁨으로 변한다.내면의 평화에서 우러나오는 사랑은 조건 없이 모든 존재를 향합니다.이 사랑은 고통받는 존재와 만나면 **연민(자비, 慈悲)**으로, 행복한 존재와 만나면 함께 기뻐하는 **muditā(공희, 共喜)**로 자연스럽게 표.. 2024. 6. 28.
불교철학 08 '어려움에 직면해 행복할 수 없다면 우리가 하는 영적 수련이 다 무슨 소용인가?- 마하 고사난다' 불교철학 08 '어려움에 직면해 행복할 수 없다면 우리가 하는 영적 수련이 다 무슨 소용인가? - 마하 고사난다'   1. 신뢰하는 마음으로 산다는 것은 불완전함에 관하여 걱정하지 않는 것이다.이 문장은 불교에서 말하는 **믿음(신심, 信心)**의 진정한 의미를 보여줍니다.맹목적인 믿음이 아닌, 자신과 세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불완전함 속에서도 평온을 유지하는 마음가짐을 강조합니다. 불교는 완벽한 존재가 아닌,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는 존재로서의 '나'를 인정하고, 그러한 불완전함 속에서도 끊임없이 수행하고 정진할 때 진정한 행복에 다가갈 수 있다고 말합니다.   2. 끊임없이 변하는 이 우주에서 우리가 확실히 아는 것은 실제로 매우 제한되어 있다.이 문장은 세상의 **무상(無常)**함을 다시 .. 2024. 6.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