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Zigbee
[정보처리기사] Zigbee
근거리 통신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중 중 하나로,
868/915MHZ. 24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저전력,
저속, 저비용 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정보처리기사] 스마트 그리드
[정보처리기사] 스마트 그리드
전기 및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전력망을 지능화, 고도화
함으로써 고품질의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효율을
극대화 하는 전력망
[정보처리기사] ESM
[정보처리기사] ESM
방화벽, 침입탐지 시스템 UTM , 가상 사성망등의
여러 보안 시스템으로부터 발생한 각종이벤트 및 로그를
통합해서, 관리, 분석 , 대응하는 전사적 통합 보안 관리시스템이다.
[정보처리기사] UTM
[정보처리기사] UTM
은 방화벽 , 침입 탐지 시스템IDS , 침입 방지 시스템 IPS
VPN, 안티 바이러스, 이메일 필터링 등 다양한 보안 장비의
기능을 하나의 장비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정보처리기사] SSL
[정보처리기사] SSL
전송계층 (4계층)과 응용계층(7계층) 사이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웹 데이터 암호화(기밀성),
상호 인증및 전송 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보안 프로토콜
Https:// 표시 형식과 443 포트를 이용한다.
SSL은 "Secure Sockets Layer"의 약자로,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의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SSL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며, 상호 인증을 통해 통신 상대의 신원을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보처리기사] S-HTTP
[정보처리기사] S-HTTP
웹상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암호화 하는 주요 방법중 하나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전송되는 모든 메세지를 각각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 ) 메세지 보호는 HTTP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에서만 가능하다
정리
SSL은 "Secure Sockets Layer"의 약자로,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의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SSL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며, 상호 인증을 통해 통신 상대의 신원을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S-HTTP는 "Secure HTTP"의 약자로, 웹 통신에서 데이터의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S-HTTP는 SSL과 유사한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SSL과는 다른 방식으로 보안을 제공합니다. S-HTTP는 개별 HTTP 요청 및 응답에 대해 암호화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요약:
SSL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S-HTTP는 웹 통신에서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SSL은 데이터 암호화, 무결성 보장, 상호 인증을 제공한다.
S-HTTP는 개별 HTTP 요청 및 응답에 대해 암호화를 적용한다.
'컴퓨터공부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windows 윈도우,운영체제,커널 ,PnP,유틸리티 프로그램,쉘 (0) | 2023.07.15 |
---|---|
[정보처리기사] SNMP ,암호화 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커널, 쉘 (Shell) (0) | 2023.07.15 |
[정보처리기사]빌드 자동화 도구, Jenkins, Gradle, Ant, Maven (0) | 2023.07.15 |
[정보처리기사] java push() , pop() ,c언어 스택(stack), 피보나치 수열 , 버블정렬 (0) | 2023.07.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