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책

장-폴 사르트르: “존재(存在)가 본질(本質)에 앞선다.이전에 이미 당신은 ‘존재’이다.그 자체로 스스로를 정의하라.”

by Life & study 2025. 6. 11.

장-폴 사르트르: “존재(存在)가 본질(本質)에 앞선다. 이전에 이미 당신은 ‘존재’이다. 그 자체로 스스로를 정의하라.”

1. 명언의 유래 🕰️

프랑스 철학자 장-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는 1945년 10월 29일 파리 소르본느 대강당에서 열린 대중 강연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L'existentialisme est un humanisme)에서 “L'existence précède l'essence.”―“존재가 본질에 앞선다.”라는 문장을 처음 대중에게 선언하였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인간의 자유와 책임을 강조하려는 시대적 요청 속에서 사르트르는 ‘신이나 이념이 인간의 본질을 먼저 규정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각 개인이 스스로를 정의해야 한다는 급진적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이 한마디는 전후 유럽 청년층에게 “정해진 길은 없다”는 해방감을 주었고, 구조주의·포스트모더니즘 등 이후 지적 조류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 현대적 의미는 시험·취업·자격증처럼 사회가 요구하는 ‘본질(역할·타이틀)’보다 이미 존재하는 ‘나’ 자체의 가치가 선행한다는 깨달음입니다. 먼저 존재를 인정하고, 스스로가 만들어 갈 본질을 책임지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줍니다.

 

2. 원문 번역 및 문장 구조 분석 🔍

  • Existence precedes essence. Before passing the exam, you already exist; define yourself by that very fact.
  • 존재가 본질에 앞선다. 시험에 합격하기 전부터 당신은 이미 ‘존재’다. 바로 그 사실로 스스로를 규정하라.
영단어 8품사 분류(한글) 문장 구성요소(한글)
Existence 명사 주어(S)
precedes 동사 술어(V)
essence 명사 목적어(O)

3. 관련 어휘 및 동의어 📚

단어 8품사 분류(한글) 구성요소 해석 동의어
existence 명사 존재 being, presence
essence 명사 본질 core, quintessence
precede 동사 앞서다 come before, lead
define 동사 규정하다 determine, characterize

4. 추천 문장 ✍️

  1. “Shape your meaning before others name you.” ― 남이 이름 붙이기 전에 네 의미를 먼저 빚어라.
  2. “Your value is not a score but a story.” ― 당신의 가치는 점수가 아닌 서사다.
  3. “Grow into titles, but never outgrow yourself.” ― 직함은 자라며 얻되, 자신을 벗어나지 마라.

5. 종교적 관점 ⛪

  1. 하느님 형상론: 창세기 1장 27절은 인간을 ‘하느님의 형상’으로 규정하여, 먼저 존재의 귀함을 선언합니다.
  2. 불교 연기설: 모든 존재는 관계 속에 일어나며, 고정된 본질이 없음을 설파합니다.
  3. 힌두 아트만 개념: 내면의 참자아(아트만)가 사회적 다르마(역할)보다 우선한다는 가르침과 연결됩니다.

6. 문학적 관점 📖

  1. 카프카 「변신」: 그레고르는 ‘존재’가 곤충으로 변해도 자의식을 포기하지 않으려 애쓰며, 본질보다 존재의 고통을 보여 줍니다.
  2. 버지니아 울프 「등대로」: 릴리 브리스코는 사회적 본질(여성·화가)을 넘어 자기 존재의 목소리를 찾습니다.
  3. 헤르만 헤세 「데미안」: 에밀은 타인의 기준을 탈피해 ‘나만의 길’을 모색하며 존재 선언을 경험합니다.

7. 철학적 관점 🧠

  1. 실존주의(사르트르, 카뮈): 주체적 선택과 책임 강조.
  2. 현상학(후설): 사태 그 자체, 즉 바로 ‘존재’를 직시하는 것.
  3. 포스트구조주의(푸코, 들뢰즈): 본질 중심 메타내러티브 비판.

8. 과학적 관점 🔬

  1. 발생생물학: 형태(본질)보다 세포의 존재·신호가 먼저 결정 요인.
  2. 양자역학 관측문제: 관측(존재 확인)이 상태함수(본질)를 결정.
  3.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존재가 모델 본질(파라미터)을 형성.

 

9. 어원 및 문화적 배경 📜

단어 어원 구성요소 설명 문화적 배경
existence ex-(밖) + sistere(서다) 밖으로 나타나 서 있음 라틴 철학에서 실재와 현존 구분에 활용
essence essent-(존재하다) + -ia(명사화) 존재하는 것의 핵심 중세 스콜라철학 ‘esse’ 논쟁
precede prae-(앞) + cedere(가다) 앞서 나아가다 로마 군사 용어에서 기원
define de-(완전히) + finire(경계짓다) 경계를 확정하다 고대 토지측량 어휘에서 발전

10. 삶에 필요한 말 💡

  1. 자기 선언의 날
    ㆍ하루를 정해 SNS나 일기장에 “나는 이런 사람이 된다”는 문장을 선언한다.
    ㆍ매달 같은 날, 선언문을 점검·수정해 성장 과정을 기록한다.
  2. 역할 없는 시간
    ㆍ일주일에 1시간, 직업·학위·가족 역할을 내려놓고 ‘하고 싶은 것’을 한다.
    ㆍ이 시간에 느낀 자유를 메모해 본질보다 존재의 기쁨을 체화한다.

11. 인생 적용 방안 🚀

  1. 선택 책임 노트
    ㆍ중요 결정을 내릴 때마다 “내가 선택했고 결과는 내가 품는다”를 적어 둔다.
    ㆍ후회가 생기면 노트로 돌아가 책임 의식을 재확인한다.
  2. 본질 새로 고침
    ㆍ연말에 스스로 붙인 ‘타이틀’ 목록을 작성하고, 더 이상 맞지 않는 것은 과감히 지운다.
    ㆍ지운 자리에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둘 키워드를 채운다.

 

12. 종합 결론 📊

핵심 축 요약 실천 포인트
존재 이미 값진 ‘나’가 있다 역할 없는 시간 확보
본질 미정의, 스스로 구성 선언문 주기적 업데이트
책임 선택의 결과를 품는다 선택 책임 노트 작성

🌟 결국 “존재가 본질에 앞선다”는 내 삶의 출발선이 외부 기준이 아니라 ‘지금 여기의 나’ 임을 일깨워 줍니다. 존재를 인정할 때, 본질은 스스로 빚어 나갈 빛나는 프로젝트가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