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에서는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Do it! 알고리즘 입문: 자바 편 (1)[책리뷰 & Book review]
Spring Boot에서는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동기화를 처리합니다.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선언된 메서드는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이게 되며,
이 트랜잭션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베이스 연산은 원자성(Atomicity)을 유지합니다.
즉, 모든 연산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거나,
아니면 하나라도 실패하면 모든 연산이 롤백되는 것을 보장합니다.
아래는
Spring Boot와 JPA를 사용하여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적용한 예제입니다.
java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UserService(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Transactional
public void register(User user) {
userRepository.save(user);
}
@Transactional
public void unregister(User user) {
userRepository.delete(user);
}
}
위의 코드는 UserService라는 클래스를 예로 들었습니다.
이 클래스에서는 register와 unregister라는 두 개의 메소드가 있으며, 각각 회원가입과 회원탈퇴 기능을 담당합니다.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소드는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처리됩니다.
따라서
userRepository에 save나 delete 연산이 실패하면 Spring이 자동으로 롤백을 수행합니다.
이렇게
Spring Boot를 사용하면 코드 레벨에서 쉽게 데이터베이스 동기화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사용하려면
먼저 Spring Boot 프로젝트에 JPA와 Database 관련 의존성을 추가해야 하며,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설정해야 합니다.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에 대해 springboot에서만 사용하는 것인가? 스프링에서도 사용하는 것인가?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은
Spring Framework의 일부로서, Spring Boot 뿐만 아니라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어노테이션은 메서드 또는 클래스에 선언되며, 선언된 범위 내에서 데이터베이스 작업이 원자적으로 처리됨을 보장합니다.
즉, 해당 범위의 모든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거나, 하나라도 실패하면 모두 롤백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Spring Boot는 Spring Framework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젝트이므로,
Spring Framework의 기능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도 Spring Boot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pring에서 제공하는 트랜잭션 관리를 위한 설정이 필요하며
, JPA, Hibernate 등의 ORM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에 Spring Framework와 Spring Boot에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예제 코드를 제공하겠습니다.
Spring Framework에서의 사용 예제:
Java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Autowired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void registerUser(User user) {
// 회원가입 로직
}
@Transactional
public void deleteUser(User user) {
// 탈퇴 로직
}
}
Spring Boot에서의 사용 예제:
Spring Boot에서는 Spring Framework와 동일하게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pring Boot는 Spring Framework 위에서 작동하므로, Spring Framework의 모든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Java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Autowired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void registerUser(User user) {
// 회원가입 로직
}
@Transactional
public void deleteUser(User user) {
// 탈퇴 로직
}
}
위의 코드에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은 해당 메서드가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의 일부임을 나타냅니다.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Spring은 해당 메서드를 실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습니다. 이렇게 하면 여러 요
SPring 어노테이션 사용순위
위 리스트는 Spring Framework와 Spring Boot에서 주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들을 나열한 것입니다
@Autowired
@Component
@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
@GetMapping
@PostMapping
@PutMapping
@DeleteMapping
@RequestParam
@PathVariable
@RequestBody
@ResponseBody
@Value
@Configuration
@Bean
@Transactional
@EnableAutoConfiguration
@SpringBootApplication
@Qualifier
@Scope
@Profile
@Import
@ControllerAdvice
@ExceptionHandler
@Valid
@PreAuthorize
@PostAuthorize
@Async
@Scheduled
@CrossOrigin
@SessionAttributes
@ModelAttribute
@EnableScheduling
@EnableAsync
@PropertySource
@JsonIgnore
@JsonFormat
@Primary
@ResponseStatus
@Resource
@PostConstruct
@PreDestroy
@Order
@EnableCaching
@Cacheable
@CacheEvict
@EnableJpaRepositories
@Entity
@Table
@Column
@Id
@GeneratedValue
@OneToMany
@ManyToOne
@ManyToMany
@OneToOne
@EnableTransactionManagement
@LastModifiedDate
@CreatedDate
@EnableJpaAuditing
@MappedSuperclass
@Audited
@EnableAspectJAutoProxy
@Before
@After
@Aspect
@Around
@AfterReturning
@AfterThrowing
@Pointcut
@JsonManagedReference
@JsonBackReference
@JsonView
@JsonIdentityInfo
@RequestBody
@RequestHeader
@RequestAttribute
@CookieValue
@EnableWebMvc
@SessionScope
@ApplicationScope
@EnableGlobalMethodSecurity
@Secured
@RolesAllowed
@PersistenceContext
@EnableRabbit
@RabbitListener
@SendTo
@Payload
@EnableWebSocketMessageBroker
@EnableSwagger2
@ApiOperation
@ApiResponses
@ApiResponse
@ApiIgnore
@EnableOAuth2Sso
@EnableZuulProxy
@Lazy
명령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무엇인가?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래밍을 접근하는 두 가지 다른 방식입니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컴퓨터가 수행할 명령을 순차적으로 작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를 명시합니다.
자바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스타일입니다.
예를 들어,
리스트의 각 요소를 두 배로 만드는 작업을 명령형 프로그래밍으로 처리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java
List<Integer> numbers = Arrays.asList(1, 2, 3, 4, 5);
List<Integer> doubled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numbers.size(); i++) {
int doubleValue = numbers.get(i) * 2;
doubled.add(doubleValue);
}
이 코드는 각 요소를 순회하면서 값을 두 배로 만들고 새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을 명시적으로 보여줍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계산을 수학적 함수의 평가로 취급하고 상태 변경과 가변 데이터를 피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입니다.
이는 컴퓨터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명시합니다.
자바 8부터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위의 코드를 함수형 프로그래밍으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이 간결해집니다.
java
List<Integer> numbers = Arrays.asList(1, 2, 3, 4, 5);
List<Integer> doubled = numbers.stream().map(e -> e * 2).collect(Collectors.toList());
이 코드는 map 함수를 사용하여 각 요소를 두 배로 만들고, 그 결과를 새로운 리스트에 수집합니다.
이 과정에서 순회하는 로직을 명시적으로 작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시스템의 상태를 변경하는 명령을 중심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반면,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데이터의 변환을 중심으로 코드를 작성합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불변성, 순수 함수, 높은 수준의 추상화 등을 통해 코드의 복잡성을 관리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특징들은 동시에 학습 곡선을 가파르게 만들며,
디버깅을 어렵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패러다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중간 결과를 확인하려면 여러 가지 방법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중간 결과를 확인하려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eek 연산을 사용하기: 스트림 API에서는 peek 연산을 제공하는데, 이는 중간 처리 단계에서 원소들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연산은 주로 디버깅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java
List<Integer> numbers = Arrays.asList(1, 2, 3, 4, 5);
List<Integer> doubled = numbers.stream()
.peek(e -> System.out.println("Before doubling: " + e)) // 중간 결과 확인
.map(e -> e * 2)
.peek(e -> System.out.println("After doubling: " + e)) // 중간 결과 확인
.collect(Collectors.toList());
이 코드는 각 원소를 두 배로 만들기 전과 후에 peek 연산을 사용하여 중간 결과를 출력합니다.
별도의 변수에 중간 결과 저장하기: 또 다른 방법으로는 중간 결과를 별도의 변수에 저장하고 이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java
List<Integer> numbers = Arrays.asList(1, 2, 3, 4, 5);
Stream<Integer> numberStream = numbers.stream();
numberStream = numberStream.map(e -> e * 2);
// 중간 결과 확인
List<Integer> intermediateResult = numberStream.collect(Collectors.toList());
System.out.println("Intermediate result: " + intermediateResult);
// 최종 결과
List<Integer> result = intermediateResult.stream().map(e -> e * 2).collect(Collectors.toList());
이 코드는 두 번의 map 연산 사이에 중간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변수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사용하면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도 중간 결과를 확인하고 디버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도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peek 연산은 부작용을 발생시키므로 순수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원칙을 위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간 결과를 별도의 변수에 저장하는 것은 메모리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컴퓨터공부 > 책리뷰 &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 it! 알고리즘 입문: 자바 편 (16)[책리뷰 & Book review] (1) | 2024.02.01 |
---|---|
Do it! 알고리즘 입문: 자바 편 (15)[책리뷰 & Book review] (0) | 2024.02.01 |
Do it! 알고리즘 입문: 자바 편 (13)[책리뷰 & Book review] (1) | 2024.01.31 |
Do it! 알고리즘 입문: 자바 편 (13)[책리뷰 & Book review] (0) | 2024.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