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컴퓨터공부/JSP10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2)[책리뷰 & Book review]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2) [책리뷰 & Book review] ResponseEntity 객체로 받는 메서드입니다 RestTemplate은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HTTP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웹 서비스에 HTTP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RestTemplate의 getForEntity() 메서드는 HTTP GET 요청을 보내고, 그에 대한 응답을 ResponseEntity 객체로 받는 메서드입니다. 이 ResponseEntity 객체는 HTTP 응답의 본문(content), 헤더(headers), 상태 코드(status code)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여기서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가 특정 URL에 HTTP GET 요청을 보내면,.. 2024. 1. 26.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1)[책리뷰 & Book review]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1) [책리뷰 & Book review] 왜 코드에서 / 을 나누기로 사용하고 = 을 이상 이하로 사용하고 *는 곱하기 표시로 사용할까?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연산자들은 대부분 ASCII 코드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ASCII 코드는 컴퓨터가 텍스트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로, 각 문자에 대응하는 숫자 값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 (나누기) : ASCII 코드에서 슬래시는 47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나누기 연산자로 사용됩니다. javascript var result = 10 / 2; // result는 5 = (이상) : ASCII 코드에서는 는 62, =는 61에 해당합니다. 이들을 조합하여 '이하'와 '이상'을 .. 2024.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