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블로그453

영혼들의 여행 - 마이클 뉴턴 02 ' 악영향을 준 영혼들은 그 값을 치러야 한다- 바가바드 기타' 영혼들의 여행 - 마이클 뉴턴 02 ' 악영향을 준 영혼들은 그 값을 치러야 한다 - 바가바드 기타'   1. 영혼:우리는 마음으로 의사소통을 해요이 문장은 영혼 세계의 소통 방식을 드러냅니다. 육체가 없는 영혼들은 언어가 아닌 텔레파시와 유사한, 마음과 마음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소통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생각과 감정을 직접적으로 전달하고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는 인간 세계의 복잡하고 때로는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언어 소통과는 대비되는, 순수하고 직관적인 소통 방식을 보여줍니다.   2. 악영향을 준 영혼들은 그 값을 치러야 한다 - 바가바드 기타이는 인도의 고전인 바가바드 기타에서 인용된 문장으로, 영혼 세계에도 인과응보의 법칙이 적용됨을 보여줍니다. 즉, 육체적 삶에서 다른 존재들에게 고통이나 .. 2024. 6. 29.
영혼들의 여행 - 마이클 뉴턴 01 ' 지상에서 품었던 모든 목적은 죽으면 아무 소용이 없어진다.' 영혼들의 여행 - 마이클 뉴턴 01 '  지상에서 품었던 모든 목적은 죽으면 아무 소용이 없어진다.'   1. 영혼은 영원히 산다 이 문장은 책의 핵심 주제를 드러냅니다. 마이클 뉴턴은 인간의 육체는 유한하지만, 영혼은 죽음 이후에도 소멸하지 않고 영원히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윤회 사상과도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영혼은 영원히 산다: 이 문장은 영혼의 불멸성을 강조합니다.즉, 육체적인 죽음 이후에도 영혼은 계속 존재하며, 이는 마이클 뉴턴의 책 "영혼들의 여행"에서 주요 주제 중 하나입니다  2. 의식적으로 기억에서는 사라졌으나 무아의 경지에서는 보이는 빛 - 마이클 뉴턴 이 문장은 전생의 기억에 대한 마이클 뉴턴의 견해를 보여줍니다. 우리는 의식적으로 전생을 기억하지 못하지만, 최면과 같은 특별한.. 2024. 6. 28.
진실로 말하노니 무엇이든지 너희가 땅에서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요 무엇이든지 땅에서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리라 진실로 말하노니 무엇이든지 너희가 땅에서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요 무엇이든지 땅에서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리라   1. 명언의 유래: 이 문장은 성경, 마태복음 18:18에서 나온 구절입니다.이 구절은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말씀하신 것으로, 그들이 하느님의 권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말씀입니다. 이 말씀은 예수님께서 베드로가 자신이 그리스도라고 고백한 후, 교회를 세우시겠다고 약속하시며 한 말씀입니다. 당시 제자들은 예수님이 메시아라는 사실을 깨닫고 있었지만, 그분의 고난과 죽음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예수님은 이 말씀을 통해 제자들이 앞으로 맡게 될 중요한 사명을 예고하셨습니다.  2. 당시 사회에 미친 영향:이 말씀은 초대 교회 성도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들은 이 말씀을 통해 자신들의 결.. 2024. 6. 28.
불교철학 09 '증오의 마음이 치르는 대가는 너무 크다는사실을 깨닫는다.' 불교철학 09 '증오의 마음이 치르는 대가는 너무 크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1. 사랑은 참된 본성이다. 사랑은 두려움이라는 보호막에 가려져 있다.모든 존재는 본래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결의 본질은 사랑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상처받을까 두려워 마음의 벽을 쌓고, 자신을 세상으로부터 고립시킵니다. 이러한 두려움이 우리의 본성인 사랑을 가리고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2. 평화로운 가슴은 사랑을 낳는다 사랑이 고통을 만나면 연민심으로 변하고 사랑이 행복을 만나면 기쁨으로 변한다.내면의 평화에서 우러나오는 사랑은 조건 없이 모든 존재를 향합니다.이 사랑은 고통받는 존재와 만나면 **연민(자비, 慈悲)**으로, 행복한 존재와 만나면 함께 기뻐하는 **muditā(공희, 共喜)**로 자연스럽게 표.. 2024. 6. 28.
불교철학 08 '어려움에 직면해 행복할 수 없다면 우리가 하는 영적 수련이 다 무슨 소용인가?- 마하 고사난다' 불교철학 08 '어려움에 직면해 행복할 수 없다면 우리가 하는 영적 수련이 다 무슨 소용인가? - 마하 고사난다'   1. 신뢰하는 마음으로 산다는 것은 불완전함에 관하여 걱정하지 않는 것이다.이 문장은 불교에서 말하는 **믿음(신심, 信心)**의 진정한 의미를 보여줍니다.맹목적인 믿음이 아닌, 자신과 세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불완전함 속에서도 평온을 유지하는 마음가짐을 강조합니다. 불교는 완벽한 존재가 아닌,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는 존재로서의 '나'를 인정하고, 그러한 불완전함 속에서도 끊임없이 수행하고 정진할 때 진정한 행복에 다가갈 수 있다고 말합니다.   2. 끊임없이 변하는 이 우주에서 우리가 확실히 아는 것은 실제로 매우 제한되어 있다.이 문장은 세상의 **무상(無常)**함을 다시 .. 2024. 6. 28.
불교철학 07 '고요할 것이다 이것이 붓다의 행복이다' 불교철학 07 '고요할 것이다 이것이 붓다의 행복이다'   1. 중도는 침착과 혐오 존재와 비존재 색과 공 자유의지와 결정론 사이에 가운데 길을 말한다.  이 문장은 다양한 관점에서 불교의 핵심 개념인 **중도(中道)**를 설명합니다. 침착과 혐오: 외부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혐오하는 양 극단을 피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존재와 비존재: 모든 것은 영원불변하게 존재한다는 '영원주의'와 모든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허무주의' 모두를 극복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상(現象)으로서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색과 공: '색(色)'은 물질적인 형태를, '공(空)'은 실체 없이 변화하는 본질을 의미합니다. 색과 공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하나의 현상.. 2024. 6. 28.
불교철학 06 '피할 장소를 찾았으나 찾을 수없었다세상에는 변하지 않는 것도 없다 - 숫따니빠타' 불교철학 06 '피할 장소를 찾았으나 찾을 수없었다 세상에는 변하지 않는 것도 없다  - 숫따니빠타'   1. 진리에 들어가는 수많은 입구들  내가 그 모든 것을 공부하기를 맹세합니다 -붓다이 문장은 깨달음,즉 진리에 이르는 길이 하나가 아니라는 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을 보여줍니다. 마치 산 정상에 이르는 길이 여러 갈래인 것처럼, 사람들은 각자의 성향과 근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진리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 붓다는 모든 존재가 깨달음의 씨앗을 지니고 있음을 인지하고, 그 다양한 길을 모두 탐구하고 이해하여 모든 중생의 깨달음을 돕겠다는 자비로운 맹세를 표명합니다.   2.  피할 장소를 찾았으나 찾을 수없었다 세상에는 변하지 않는 것도 없다  - 숫따니빠타이 구절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의 속성인 *.. 2024. 6. 28.
죽음에서 다시 부활하다. (막 9:30-32; 눅 9:43 하-45) 죽음에서 다시 부활하다. (막 9:30-32; 눅 9:43 하-45)   1. "명언"의 유래:이 구절은 마가복음 9장 30-32절과 누가복음 9장 43-45절에 등장하는 예수의 말씀을 가리킵니다. 예수께서 제자들과 함께 갈릴리에서 가버나움으로 가는 길에 자신이 곧 잡혀 죽임을 당하고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날 것을 예고하신 사건입니다. 제자들은 예수의 말씀을 이해하지 못하고 두려워했습니다.   2. 당시 사회에 미친 영향:당시 이 말씀은 제자들에게 공포와 혼란을 야기했습니다. 죽음은 모든 것의 끝이라고 여겼던 당시 사회에서 죽음에서 다시 부활한다는 개념은 낯설고 받아들이기 어려웠을 것입니다.하지만 예수의 부활 이후, 이 사건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핵심 신앙이 되었습니다. 예수의 부활은 죽음의 권세를 이기.. 2024. 6. 27.